1 |
1 |
4
완전 연소에 의한 다이옥신 발생억제
|
- 완전연소: 연소온도 850℃이상-체류시간 2초 이상
- 연소실 온도: 1100℃이상 - 다이옥신 완전분해
- 1차 연소공기:4개 부위로 조절, 주입
- 2차 연소공기:미연분 완전연소
|
4
다이옥신 재생성 방지
|
- 다이옥신 재생성 온도 구간 최소화
- 반건식 반응탑에서 155℃로 냉각
- 집진설비 입구온도 200℃이하 유지
- 로출구 최적 산소량 유지
|
4
다이옥신 제거
|
- 활성탄 흡착 및 여과 집진에 의한 98%이상의 고효율 제거
- SCR촉매탑에서 다이옥신 완전 제거
|
4
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
|
|
1 |
4
질소 산화물 제거
|
- 환원제(암모니아)에 의한 질소산화물 제거
- 암모니아 슬립 15 ppm이하
|
4
산성가스 제거
|
- 반건식 반응탑에 의한 산성가스(HCL,SOx,HF) 제거
|
4
중금속류 제거
|
|
4
분진 제거
|
- Teflon재질의 필터백 사용으로10㎛이하의 미세분진까지 제거
|
4
분석 및 감시
|
- 국내 소각장 중 최고인 150m높이의 굴뚝
- 각종 대기오염물질의 연속 측정 및 분석
- 대기배출가스 원격감시 시스템(TMS)가동-실시간 DATA환경관리공단 전송
|
|
 |
1.반건식 반응탑
염소화합물과 황산화물을 제거합니다.
|
|
|
 |
2.백필터
다이옥신과 분진을 제거합니다.
|
|
|
 |
3.SCR 촉매탑
배기가스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과 다이옥신을 분해시킵니다.
|
|
|
 |
4. 연돌
굴뚝 높이가 150 m로 대기 확산을 용이하게 합니다.
|
|
|
 |
5. 전광판
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농도를 시민에게 공개합니다.
|
|
|
 |
6. 소각로
자동연소제어장치에 의해 소각량이 조절되며 쓰레기는 완전연소되어 재로 됩니다.
|
|
|
 |
7. 폐수처리설비
소각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처리후 대부분은 공정수로 사용되고 유기,무기폐수는 폐수처리장으로 보냅니다.
|
|
|
 |
|
Copyrights
김해시 소각장 All rights reserved. |